본문 바로가기

해양

금어기 및 금지체장 완벽정리(25년도 ver)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금어기, 금지체장에  대하여 

포스팅을 하려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레저, 낚시, 해루질 등을 통하여

물고기 등을 잡고 있는데요

금어기, 금지체장을 잘 아셔야

남들에게 피해 안 가게 활동을 즐기 실 수 있습니다.

우선

 

금어기, 금지체장이란?

수산자원관리법에서는

수산자원의 번식과 보호를 위해

알배기 어미와 어린 물고기의 포획, 채취가

금지되는 기간인 금어기와

금지되는 크기(무게)인 금지체장(체중)을 정하고 있습니다

 

금어기 금지체장 개정내용(2023.11.7.부터 시행)

구 분 현 행 개 정 안
개서대 금어기: 7.1~8.31
금지체장 26cm
금어기: 삭제
금지체장 삭제
황돔 금지체장 15cm 금지체장 삭제
황복 금지체장 20cm 금지체장 삭제
털게 금어기: 4.1~5.31 강원도
금지체장 7cm 강원도
금어기: 삭제
금지체장 삭제
닭새우 금어기: 7.1~8.31
금지체장 5cm
금어기: 삭제
금지체장 삭제
펄닭새우 금어기: 6.1~8.31
금지체장 10cm
금어기: 삭제
금지체장 삭제
백합 금어기: 7.1~8.20
금지체장 각장 5cm
금어기: 삭제
금지체장 삭제
소라 금어기: 6.1~8.31
여수 삼산면, 제주
7.1~9.30 제주 추자도
6.1~9.30 울릉도. 독도
금어기: 6.1~6.30 여수 삼산면
6.1~8.31 제주
7.1~8.31 제주 추자도
6.1~7.31 울릉도. 독도
코끼리조개 금어기: 4.1~7.31
강원, 경북
금어기: 5.1~6.30
강원, 경북
개다시마 금어기: 11.1~1.31 금어기: 삭제
감태, 검둥감태 금어기: 5.1~7.31
제주(연중)
금어기: 삭제
곰피 금어기: 5.1~7.31 금어기: 삭제
대황 금어기: 5.1~7.31 금어기: 삭제
도박류 금어기: 10.1~4.30 금어기: 삭제
뜸부기 금어기: 8.1~9.30 금어기: 삭제
우뭇가사리 금어기: 11.1~4.30 금어기: 11.1~3.31

23년에 많이 변경된 부분이 있어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법제처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별표1, 2를 확인하시면

금어기, 금지체장에 관하여 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 국가법령정보센터 | 현행법령 > 법령명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금지체장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포획금지체장 측정방법은

수산자원 분류군별로 다릅니다.

어류는 일반적으로 머리에서 꼬리까지

길이를 나타내는 전장을 기준으로 하여,

갈치와 같이 몸기 긴 어류는

머리에서 항문까지 길이를 나타내는 항문장,

홍어류는 체반을 기준으로 합니다

갑각류는 두흉갑장을 기준으로 패류는 각장과 각고,

그리고 오징어류는 외투장의 길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출처: 법제처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수산자원의 포획 금지 기간은

모든 해역과 어업에서 동일한가요?

대부분의 어종은 동일하게 적용받고 있으나,

지역과 어업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어종도 있습니다

 

수산자원을 포획, 채취 이용하거나 하려는 모든 국민이 지켜야 합니다.

어업인과 낚시인은 물론 비어업인과 소비자 모두가 포함됩니다.

비어업인은 어업인이 아닌 자로서

집게, 호미, 갈고리, 외통발 등을 이용해

수산자원을 포획, 채취하는 자를 포함하며

최근 스킨스쿠버 등의 레저활동 또는 맨손으로

수산자원을 잡는 일반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비어업인이 금어기 또는 금지체장(체중)을

위반하면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금어기, 금지체장 정보는

국가법령정보센터(law.go.kr)에서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을 검색하신 뒤

금어기는 별표 1을, 금지체장(체중)은 별표 2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출처: 법제처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출처: 법제처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본 포스팅의 출처는

법제처 수산자원관리법 입니다

한번 들어가 보시면 더 많은 정보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링크 걸어둘게요!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 국가법령정보센터 | 현행법령 > 법령명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