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양

제주특별자치도 '해루질' 고시 폐지 상황 정리 제주특별자치도 ‘해루질’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려 합니다.우선 해루질은 법적 용어는 아닙니다.일반인이 사용하는 흔히 사용하는 속어 일상 용어입니다보통 ‘얕은 바다나 갯벌에서 조개, 낙지, 게 등을 잡는 행위’이나 지역마다 약간 쓰임이 다른 걸로 알고 있습니다.제주특별자치도 해루질은 제주특별자치도 고시 제2021-86호 「비어업인의 포획․채취의 제한 및 조건 고시」 의거하여 많은 사람들이 해루질을 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25. 3. 7. 다시 제주특별자치도 고시 제2025-53호로 「수산자원관리법」 개정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 고시 제2021-86호 「비어업인의 포획․채취의 제한 및 조건 고시」 폐지”를 아래와 같이 고시했습니다❍ 고시폐지 ‘대상 고시’고시번호고시명고시일자제2021-86호비어업인의 포획·채.. 더보기
수상레저활동(기상특보활동신고서) 정리 안녕하십니까! 요즘 수상에서 레저활동들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할 수 있는 건 아니고 야간이나 기상 제한, 장비 착용 등 확인해야 할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 기상이 불량할 때 기상특보활동신고서 제출 등을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수상레저활동이란 수상레저안전법 상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수상레저안전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현행법령 > 법령명 (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www.law.go.kr 법제처 사이트 링크걸어두겠습니다 “수상레저활동”이란 수상에서 수상레저기구를 사용하여 취미ㆍ오락ㆍ체육ㆍ교육 등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 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수상레저활동 중 수상은 어디까지의 범위일까요? “수상”이란 해수면과 내수면을 말하며, “해수면”이란 바다의 수류.. 더보기
3분간법 쉽게 완벽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항해 실무에서 사용하는 3분간법에 대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먼저 그전에 간단한 항해술 용어를 알고 있어야 이해가 편합니다 먼저 항해술 용어들을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항해술 간단하게 선박을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기술을 통칭합니다. 1해리(1마일) 1마일은 육리와 해리가 각각 다르나 이번 설명에선 항해술 관련이기에 1해리로 표현하였으며 1해리(nautical mile)는 1,852m입니다. 참고로 육리는 1,609.3m입니다. 1야드(yard, yd) 야드파운드법의 기본 길이 단위입니다. 1km = 1,000m 1해리 (nautical mile) = 1,852m 1야드(yd) = 0.9144m 입니다. 1km/h 1km/h는 1시간에 1km를 이동했다는 뜻입니다. (이건 .. 더보기
물때표 보는법 쉽게 완벽정리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바다 쪽으로 여행하려면 한번씩은 봐야 할 물때표 보는 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양력이 아닌 음력?? 1물, 2물?? 조금 어려운 내용들이지만 가장 간단하게 보는 법만 아신다면 너무나도 쉽습니다. 일단 물때표에 앞서 관련 단어들 정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리(대조기) 만조, 간조의 조차가 높고 조류 흐름이 가장 빠른 시기 (음력 15일, 30일 정도) 조금(소조기) 만조, 간조의 조차가 작고 조류 흐름이 가장 약한 시기 (음력 8일, 23일 정도) 조차 밀물, 썰물 사이에 해수면의 높이 차이 음력 한달을 주기로 약간씩 변화함 정조 만조와 간조 즈음을 전후로 조류가 마치 정지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이는 상태 조석 조석이란 달과 태양 그리고 지구의 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주기적인 승강운동을 .. 더보기
바다 지킴이 '청항선' 완벽정리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제주 바다에 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제주도는 깨끗하고 청정 제주바다를 조성하기 위해, 해양쓰레기 수거· 처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해양쓰레기를 발견 했을 경우, 바다 위에 떠 있는 부유폐기물은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산업과(710-3223)으로 연락하시면 되지만, 해안가, 해수욕장, 갯바위 등에 떠밀려온 해양쓰레기는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로 연락하시면 신속한 수거를 위해 최선을 다하하고 있습니다 (출처: 제주시청 인터넷 신문고) 제주시청 제주시 소식, 시민참여, 민원안내, 관광정보 등 수록 www.jejusi.go.kr 우선 해양쓰레기 관련은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법 (약칭: 해양폐기물관리법)에 그 근거가 있습니다. 제12조(해안폐기물의 수거) ① 시장(「제주특별자치도.. 더보기
금어기 및 금지체장 완벽정리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금어기, 금지체장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우선 금어기, 금지체장이란? 수산자원관리법에서는 수산자원의 번식과 보호를 위해 알배기 어미와 어린 물고기의 포획, 채취가 금지되는 기간인 금어기와 금지되는 크기(무게)인 금지체장(체중)을 정하고 있습니다 근거법 수산자원관리법 금지체장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포획금지체장 측정방법은 수산자원 분류군별로 다릅니다. 어류는 일반적으로 머리에서 꼬리까지 길이를 나타내는 전장을 기준으로 하여, 갈치와 같이 몸기 긴 어류는 머리에서 항문까지 길이를 나타내는 항문장, 홍어류는 체반을 기준으로 합니다 갑각류는 두흉갑장을 기준으로 패류는 각장과 각고, 그리고 오징어류는 외투장의 길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수산자원의 포획 금지 기간은 모든 해역과 어업에서 동일한가.. 더보기